(2024 대회 준비) 주몽 - 1940번
2024. 6. 26. 10:08ㆍ백준 문제와 소스 코드
문제
주몽은 철기군을 양성하기 위한 프로젝트에 나섰다. 그래서 야철대장을 통해 철기군이 입을 갑옷을 만들게 하였다. 야철대장은 주몽의 명에 따르기 위하여 연구에 착수하던 중 아래와 같은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갑옷을 만드는 재료들은 각각 고유한 번호를 가지고 있다. 갑옷은 두 개의 재료로 만드는데 두 재료의 고유한 번호를 합쳐서 M(1 ≤ M ≤ 10,000,000)이 되면 갑옷이 만들어 지게 된다. 야철대장은 자신이 만들고 있는 재료를 가지고 갑옷을 몇 개나 만들 수 있는지 궁금해졌다. 이러한 궁금증을 풀어 주기 위하여 N(1 ≤ N ≤ 15,000) 개의 재료와 M이 주어졌을 때 몇 개의 갑옷을 만들 수 있는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재료의 개수 N(1 ≤ N ≤ 15,000)이 주어진다. 그리고 두 번째 줄에는 갑옷을 만드는데 필요한 수 M(1 ≤ M ≤ 10,000,000) 주어진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셋째 줄에는 N개의 재료들이 가진 고유한 번호들이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고유한 번호는 1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갑옷을 만들 수 있는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6
9
2 7 4 1 5 3
예제 출력
2
코드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N, M;
int numbers[15000];
int main()
{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0);
cout.tie(0);
cin >> N >> M;
int number;
for (int i = 0; i < N; i++)
{
cin >> number;
numbers[i] = number;
}
int result = 0;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i + 1; j < N; j++)
{
if (numbers[i] + numbers[j] == M)
result++;
}
}
cout << result << "\n";
}
설명
1. 정렬
이 문제는 정렬을 하지 않고 풀어도 시간이 충분해서 통과를 했을 것이다.
하지만 정렬을 사용한다면 평균을 줄이고 더 좋은 코드가 나오지 않았을까 싶다.
#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N,M,cnt=0;
int a[15000]={0,};
cin>>N>>M;
for(int i=0;i<N;i++){
cin>>a[i];
}
sort(a,a+N);
int l=0,r=N-1;
while(l<r){
if(a[l]+a[r]<M){
l++;
}
else if(a[l]+a[r]>M){
r--;
}
else{
cnt++;
l++, r--;
}
}
cout<<cnt;
return 0;
}
2. 투 포인터
-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접근해야 할 때 두 개의 점의 위치를 기록하면서 처리하는 알고리즘
- 정렬되어있는 두 리스트의 합집합에도 사용됨. 병합정렬(merge sort)의 counquer 영역의 기초가 될 수 잇다.
보통 특정한 부분 연속 순열을 찾는 데 사용한다.
'백준 문제와 소스 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대회 준비) 카드2 - 2164번 (0) | 2024.06.27 |
---|---|
(2024 대회 준비) 스택 수열 - 1874번 (0) | 2024.06.26 |
(2024 대회 준비) 수들의 합 5 - 2018번 (0) | 2024.06.26 |
(2024 대회 준비) 구간 합 구하기 4 - 11659번 (0) | 2024.06.25 |
(2024 대회 준비) 평균 - 1546번 (0) | 2024.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