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 Unity 공부(34)
-
[Kitchen Chaos] Collision Detection
강의 영상 (2:04:08 ~ 2:17:02)https://www.youtube.com/watch?v=AmGSEH7QcDg&t=17944s 코드 Vector2 inputVector = gameInput.GetMovementVectorNormalized(); Vector3 moveDir = new Vector3(inputVector.x, 0f, inputVector.y); float moveDistance = moveSpeed * Time.deltaTime; float playerRadius = .7f; float playerHeight = 2f; bool canMove = !Physics.CapsuleCast(transform.position, transform.posit..
2024.05.05 -
[Kitchen Chaos] Input System Refactor
강의 영상 (1:48:32 ~ 2:04:08)https://www.youtube.com/watch?v=AmGSEH7QcDg&t=17944s 아래 강의에서https://pyorang56.tistory.com/159 [Kitchen Chaos] Character Controller강의 영상 (55:47 ~ 1:14:50)https://www.youtube.com/watch?v=AmGSEH7QcDg&t=17944s 보이는 것을 담는 오브젝트와 코드를 담는 오브젝트를 따로 분리해야하는 이유?오브젝트의 모습 (ex. scale)을 변경할 때 코드에도pyorang56.tistory.comLegacy Input Manager을 사용했다면이번에는 New Input System을 이용하여 코드를 다시 작성해 볼 것이다..
2024.05.05 -
[Kitchen Chaos] Cinemachine
강의 영상 (1:42:42 ~ 1:48:32)https://www.youtube.com/watch?v=AmGSEH7QcDg&t=17944s CineMahcine이란?카메라를 쉽게 움직일 수 있게 해주는 유니티의 기능 중 하나이다.따로 Package Manager에서 찾아 다운 받아줘야 한다. 예로 들어, CineMachine의 Virtual Camera 오브젝트를 만들었다고 가정하자.이 씨네머신을 만들면 Main Camera 오브젝트 안에 CinemachineBrain이라는 컴포넌트가 생긴다. 그리고 Main Camera의 설정을 바꾸려도 해도 바꿀 수가 없다.=> Virtual Camera가 Main Camera의 위에서 작동하기 때문이다. 무튼 이 Virtual Camera의 설정을 잘 조작하면 ..
2024.05.04 -
[Kitchen Chaos] Animations
강의 영상 (1:22:59 ~ 1:42:42)https://www.youtube.com/watch?v=AmGSEH7QcDg&t=17944s 코드public class Player : MonoBehaviour{ [SerializeField] private float moveSpeed = 7f; private bool isWalking; private void Update() { Vector2 inputVector = new Vector2(0, 0); if (Input.GetKey(KeyCode.W)) { inputVector.y = +1; } if (Input.GetKey(KeyCode.A)) ..
2024.05.04 -
[Kitchen Chaos] Character Visual, Rotation
강의 영상 (1:14:50 ~ 1:22:59)https://www.youtube.com/watch?v=AmGSEH7QcDg&t=17944s Shader란?컴퓨터 그래픽 카드에서 오브젝트가 어떻게 렌더러에 의해 렌더링 되는지를 나타내는 코드이다. 모양, 색상, 질감, 광원 등을 조작한다. 각도를 바꾸는 여러 가지 방법1. rotation ( 쿼터니언 사용 )2. eulerAngles (오일러각)3. LookAt( target ) 함수 - 오브젝트의 앞이 target 을 향하게 만들어주는 함수4. transform.forward (오브젝트의 정면을 나타내는 Vector2)을 바꾸는 방법Lerp 함수() - 선형 보간법Slerp 함수() - 구면 선형 보간법 회전의 경우는 Slerp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
2024.05.03 -
[Kitchen Chaos] Character Controller
강의 영상 (55:47 ~ 1:14:50)https://www.youtube.com/watch?v=AmGSEH7QcDg&t=17944s 보이는 것을 담는 오브젝트와 코드를 담는 오브젝트를 따로 분리해야하는 이유?오브젝트의 모습 (ex. scale)을 변경할 때 코드에도 영향이 갈 수 있기 떄문이다.=> Logic 부분과 Visual 부분을 따로 관리해야 한다. Legacy Input Manager vs New Input System Legacy Input Manager가 유니티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면 입력과 관련된 것을 다루는 것이라면New Input System은 2019.1부터 제공하기 시작한 말 그대로 새로운 input 시스템이다.Input System이 많이 유용하지만, 좀 더 복잡하다. 코드 pu..
2024.05.03